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

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br /> 장 소 : 강원도 정선<br /> 촬영일시 : 2016. 8. 3<br /> <br /> 사시사철 푸른 잎을 자랑하는 여러해살이 풀 일엽초<br /> 생약명은 와위(瓦韋), 낙성초, 골패초, 검단, 칠성초(七星草), 골비초(骨脾草) 입니다.<br /> 잎 뒷면 가운데 양쪽에 나란히 포자낭군을 다는데, 노오랗고 둥근 모양이 꼭 벌레알 같기도 합니다.<br /> 영상의 일엽초는 아직 포자장군을 달고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br /> <br /> 일엽초의 종류에는 <br /> 일엽초, 우단일엽초, 주걱일엽초, 파초일엽초등이 있습니다.<br /> 일엽초는 보통 이끼가 있는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생하는데요.<br /> 뿌리에서 잎자루가 짧게 나와 홑잎을 내어 자라며 날씨가 가물면 잎이 바짝 말라 아주 가늘게 다이어트를 한답니다.<br /> 그렇게 죽은 듯 잎을 오므리고 말라있다가도 비가오면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을 보면 참 신기한 식물이에요~~^^<br /> 그리고 일본에서는 수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생물 지표종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br /> <br /> 일엽초는 민간에서 위암, 자궁암, 유방암등에 쓰여왔다고 합니다.<br /> 5~8월에 채취하여 해볕에 말려 사용하는데, 잎의 맛은 싱겁고 성칠은 차며 독이 없다고 합니다.<br /> 효능으로는 이뇨작용, 지혈작용, 기침에 피가래가 섞여나오는 증상, 이질, 해수, 토혈, 신장결석, 요도염이나 신장염, 방광결석, 부종, 안목성예, 임질, 주마아감, 임질, 하리, 타박상, 뱀에 물린 상처, 대장염 등에도 좋습니다.<i class="fa fa-language transViewIcon clickable" title="Translation"></i>

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
Video date 2016/08/05 08:39
Play musics without ads!
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
Once shared, this message disappears.
https://i.ytimg.com/vi/Gckj6k_Ipx0/mqdefault.jpg
https://www.youtube.com/embed/Gckj6k_Ipx0
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
20
16:35아무리 생각해도 저그는 이 빌드 밖에 없습니다. [미친저그]
04:54방광 [내 몸 둘러보기]
01:00:01에코 음향 효과, 광활한 홀, 배경 소음, 사람, 군중 - 1 시간
01:38콩순이 동물송 [콩순이의 율동교실 4기]
10:58'남한산성' 설민석 강사의 스페셜 역사 영상
18:39닌텐도 스위치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 13화 마스터 트레이너 6명을 쓰러뜨리기 위한 모험!!! 그전에 전기닭부터 잡아요!!
01:39콩순이 아이스크림 좋아송 [콩순이의 율동교실 4기]
00:59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
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
00:00
Loading...
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
장 소 : 강원도 정선
촬영일시 : 2016. 8. 3

사시사철 푸른 잎을 자랑하는 여러해살이 풀 일엽초
생약명은 와위(瓦韋), 낙성초, 골패초, 검단, 칠성초(七星草), 골비초(骨脾草) 입니다.
잎 뒷면 가운데 양쪽에 나란히 포자낭군을 다는데, 노오랗고 둥근 모양이 꼭 벌레알 같기도 합니다.
영상의 일엽초는 아직 포자장군을 달고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일엽초의 종류에는
일엽초, 우단일엽초, 주걱일엽초, 파초일엽초등이 있습니다.
일엽초는 보통 이끼가 있는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생하는데요.
뿌리에서 잎자루가 짧게 나와 홑잎을 내어 자라며 날씨가 가물면 잎이 바짝 말라 아주 가늘게 다이어트를 한답니다.
그렇게 죽은 듯 잎을 오므리고 말라있다가도 비가오면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을 보면 참 신기한 식물이에요~~^^
그리고 일본에서는 수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생물 지표종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일엽초는 민간에서 위암, 자궁암, 유방암등에 쓰여왔다고 합니다.
5~8월에 채취하여 해볕에 말려 사용하는데, 잎의 맛은 싱겁고 성칠은 차며 독이 없다고 합니다.
효능으로는 이뇨작용, 지혈작용, 기침에 피가래가 섞여나오는 증상, 이질, 해수, 토혈, 신장결석, 요도염이나 신장염, 방광결석, 부종, 안목성예, 임질, 주마아감, 임질, 하리, 타박상, 뱀에 물린 상처, 대장염 등에도 좋습니다.
View comments
This playlist has no title.
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
Share with your friends!
Press emoticons to leave feelings.
#Like
#Like
0
#Funny
#Funny
0
#Sad
#Sad
0
#Angry
#Angry
0
#Cool
#Cool
0
#Amazing
#Amazing
0
#Scary
#Scary
0
#Want more
#Want more
0
6067 https://www.youtube.com/watch?v=Gckj6k_Ipx0 자작나무에 얹혀 사는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 3
Mark LIKE on the tags!
13045 자작나무
13046 일엽초
13047 산나물
13048 구름
13049 칠성초
13050 골비초
13051 골패초
Guest
Guest
0
0
There is no introduction.
 
Share page of @Guest
UnMark |Edit |Search
Mark |Dislike |Search
Mark |Del |Search
Open
Report
Full screen
Timer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