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카풀 등장에 외면당한 택시…‘승차 거부·바가지’ 여전 / KBS뉴스(News)

[기자]<br /> <br /> 비싼 요금 감수하고 택시를 탔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불쾌했던 경험 있으실 겁니다.<br /> 최근에는 &#039;카풀&#039;앱 같은 이른바 &#039;공유경제&#039; 서비스가 생기면서, 택시업계 입지도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br /> 직장인들에게 물었더니 10명 중 9명은 &#039;카풀&#039; 서비스를 찬성하고, 그 이유로 승차 거부나 불친절 등 일반 택시의 서비스 불만을 꼽았습니다.<br /> 국내에 한때 도입됐던 &#039;우버&#039;를 이용해 본 승객들은 택시보다 우버에 더 후한 점수를 주기도 했습니다.<br /> &#039;공유 경제&#039; 바람 속에서 택시업계의 서비스 경쟁력 확보는 생존을 위한 절대 과제가 되고 있는데요.<br /> 택시 서비스, 승객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인지 먼저 오대성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br /> [리포트]<br /> 10월 마지막 날, 서울 이태원역 주변.<br /> 집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빨라집니다.<br /> 지금 시간이 밤 12시가 되기 조금 전인데요, 택시가 잘 잡히는지 직접 확인해보겠습니다.<br /> 심야 기본요금 거리인 2km 이내의 목적지를 택시 애플리케이션으로 호출해봤습니다.<br /> 10번 호출했지만 모두 실패.<br /> 호출은 포기하고 빈차를 세우려고 해봤습니다.<br /> [택시기사/음성변조 : &quot;(한남역 안 가세요? 한남역은 왜?) 가는 차 아니에요.&quot;]<br /> 대놓고 4배의 요금을 내라고도 말합니다.<br /> [&quot;장거리 하나 받으려고. 여기 들어왔으면 한 3~4만 원 찍어야지. 만 오천 원 줘요, 내가 태워다 줄게.&quot;]<br /> 대중교통이 끊긴 새벽 1시가 되자 승차 거부는 더 심해집니다.<br /> 도로 한 차선을 점거하고 아예 멈춰선 택시들.<br /> 기사들은 밖으로 나와 호객행위에 나섭니다.<br /> [&quot;여기서는 카카오 백날 찍어도 안 잡히죠? 안 잡혀요.&quot;]<br /> 30분째 멈춰선 택시기사에게 가봤습니다.<br /> [&quot;(기사님 왜 운행 안 하시는 거예요?) 예약됐으니까, 다 불 꺼져 있잖아요. (지금 30분째 예약하세요?)&quot;]<br /> [&quot;(기사님 예약손님도 안 받으시고 어디로 가세요?) 내 마음이다 왜!!&quot;]<br /> 이 기사는 10분 후 돌아와 제자리인 듯 차를 세웠습니다.<br /> 단속을 피하려고 &#039;예약&#039;표시등을 켜놓고, 장거리 승객을 기다리는 건 다반사입니다.<br /> [&quot;(어디 가는데요? 어디?) 서울 드래곤시티. 아, 용산 (투웬티) 투웬티? 투웬티 따우전?(2만 원)&quot;]<br /> 외국인에게 4배의 바가지 요금을 물리고 나서야 예약등이 꺼집니다.<br /> 지난 2013년 요금 인상이 있었지만 이후 택시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보면 변한 게 없습니다.<br /> 서울시는 현재 내년 택시 기본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br /> [김지현/서울 성북구 : &quot;솔직히 기분 나쁘긴 하죠. 돈 더 내고 가는데도 계속 그렇게 하시면 저희도 눈치 보이고..&quot;]<br /> 보름 전 &#039;카풀&#039; 반대 집회에서 택시업계는 반성의 목소리를 냈지만,<br /> [강신표/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위원장 : &quot;시민들에게 질 좋은 서비스도 당연히 우리가 해줘야 하고..&quot;]<br /> [구수영/전국민주택시노조위원장 : &quot;이제 우리 승차거부 하지 맙시다, 동의하십니까! (네!!)&quot;]<br /> 여전히 변한 건 없었습니다.<br />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br /> ▼ “사납금 때문에 노예 신세”<br /> [리포트] <br /> 조명탑에 파이프를 덧대 세운 고공 농성장.<br /> 택시기사 김재주 씨를 만나려면 크레인을 동원해 25미터 상공까지 올라가야 합니다.<br /> [&quot;안녕하세요.&quot;]<br /> 추위와 더위를 온몸으로 견디며 밧줄 하나에 끼니와 용변을 주고받은 지 1년 2개월.<br /> 최장기 고공농성 중인 김씨의 오랜 바람은 사납금 폐지입니다.<br /> [김재주/택시기사 : &quot;4시간, 5시간 임금만 주면서 실질적으로 사납금은 10시간을 일해야만이 벌 수 있는 금액, 완전히 현대판 노예죠.&quot;]<br /> 사납금 제도는 법으로 금지된 지 오래지만, 회사들은 &#039;운송기준금&#039;이라는 명목으로 이름만 바꿔 법망을 피해가고 있습니다.<br /> 20년째 택시 운전을 하는 백대영 씨가 굳이 저녁 6시부터 12시간 야간 근무를 고집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br /> [&quot;어서오세요&quot;]<br /> 손님이 없어도, 몸이 아파도, 하루에 무조건 회사 몫으로 넘겨야 할 금액이 15만 원, 한 달이면 390만 원입니다.<br /> [백대<i class="fa fa-language transViewIcon clickable" title="Translation"></i>

[집중진단] 카풀 등장에 외면당한 택시…‘승차 거부·바가지’ 여전 / KBS뉴스(News)
Last tagged 2024/07/25 02:42
Play musics without ads!
[집중진단] 카풀 등장에 외면당한 택시…‘승차 거부·바가지’ 여전 / KBS뉴스(News)
Once shared, this message disappears.
https://cdn.hoyatag.com/cache/2018/12/15/c1602b21ff77ed4dfd41bd9b65d6aa48.jpg
https://www.youtube.com/embed/ULxdisNzEiA
[집중진단] 카풀 등장에 외면당한 택시…‘승차 거부·바가지’ 여전 / KBS뉴스(News)
1K+
07:23아버지 직업을 부끄러워했던 임희정 아나운서 / 스브스뉴스
07:14몸 만들려면 무조건 헬스하세요
03:34볼빨간사춘기 (Bolbbalgan4) - 우주를 줄게 (Galaxy) [MP3 Audio]
04:35황금간지 증장천왕 스피드하게 뽑아 버렸습니다!! [거상] 흥민이
05:20[집중진단] 카풀 등장에 외면당한 택시…‘승차 거부·바가지’ 여전 / KBS뉴스(News)
[집중진단] 카풀 등장에 외면당한 택시…‘승차 거부·바가지’ 여전 / KBS뉴스(News)
00:00
Loading...
[기자]

비싼 요금 감수하고 택시를 탔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불쾌했던 경험 있으실 겁니다.
최근에는 '카풀'앱 같은 이른바 '공유경제' 서비스가 생기면서, 택시업계 입지도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직장인들에게 물었더니 10명 중 9명은 '카풀' 서비스를 찬성하고, 그 이유로 승차 거부나 불친절 등 일반 택시의 서비스 불만을 꼽았습니다.
국내에 한때 도입됐던 '우버'를 이용해 본 승객들은 택시보다 우버에 더 후한 점수를 주기도 했습니다.
'공유 경제' 바람 속에서 택시업계의 서비스 경쟁력 확보는 생존을 위한 절대 과제가 되고 있는데요.
택시 서비스, 승객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인지 먼저 오대성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월 마지막 날, 서울 이태원역 주변.
집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빨라집니다.
지금 시간이 밤 12시가 되기 조금 전인데요, 택시가 잘 잡히는지 직접 확인해보겠습니다.
심야 기본요금 거리인 2km 이내의 목적지를 택시 애플리케이션으로 호출해봤습니다.
10번 호출했지만 모두 실패.
호출은 포기하고 빈차를 세우려고 해봤습니다.
[택시기사/음성변조 : "(한남역 안 가세요? 한남역은 왜?) 가는 차 아니에요."]
대놓고 4배의 요금을 내라고도 말합니다.
["장거리 하나 받으려고. 여기 들어왔으면 한 3~4만 원 찍어야지. 만 오천 원 줘요, 내가 태워다 줄게."]
대중교통이 끊긴 새벽 1시가 되자 승차 거부는 더 심해집니다.
도로 한 차선을 점거하고 아예 멈춰선 택시들.
기사들은 밖으로 나와 호객행위에 나섭니다.
["여기서는 카카오 백날 찍어도 안 잡히죠? 안 잡혀요."]
30분째 멈춰선 택시기사에게 가봤습니다.
["(기사님 왜 운행 안 하시는 거예요?) 예약됐으니까, 다 불 꺼져 있잖아요. (지금 30분째 예약하세요?)"]
["(기사님 예약손님도 안 받으시고 어디로 가세요?) 내 마음이다 왜!!"]
이 기사는 10분 후 돌아와 제자리인 듯 차를 세웠습니다.
단속을 피하려고 '예약'표시등을 켜놓고, 장거리 승객을 기다리는 건 다반사입니다.
["(어디 가는데요? 어디?) 서울 드래곤시티. 아, 용산 (투웬티) 투웬티? 투웬티 따우전?(2만 원)"]
외국인에게 4배의 바가지 요금을 물리고 나서야 예약등이 꺼집니다.
지난 2013년 요금 인상이 있었지만 이후 택시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보면 변한 게 없습니다.
서울시는 현재 내년 택시 기본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지현/서울 성북구 : "솔직히 기분 나쁘긴 하죠. 돈 더 내고 가는데도 계속 그렇게 하시면 저희도 눈치 보이고.."]
보름 전 '카풀' 반대 집회에서 택시업계는 반성의 목소리를 냈지만,
[강신표/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위원장 : "시민들에게 질 좋은 서비스도 당연히 우리가 해줘야 하고.."]
[구수영/전국민주택시노조위원장 : "이제 우리 승차거부 하지 맙시다, 동의하십니까! (네!!)"]
여전히 변한 건 없었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사납금 때문에 노예 신세”
[리포트]
조명탑에 파이프를 덧대 세운 고공 농성장.
택시기사 김재주 씨를 만나려면 크레인을 동원해 25미터 상공까지 올라가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추위와 더위를 온몸으로 견디며 밧줄 하나에 끼니와 용변을 주고받은 지 1년 2개월.
최장기 고공농성 중인 김씨의 오랜 바람은 사납금 폐지입니다.
[김재주/택시기사 : "4시간, 5시간 임금만 주면서 실질적으로 사납금은 10시간을 일해야만이 벌 수 있는 금액, 완전히 현대판 노예죠."]
사납금 제도는 법으로 금지된 지 오래지만, 회사들은 '운송기준금'이라는 명목으로 이름만 바꿔 법망을 피해가고 있습니다.
20년째 택시 운전을 하는 백대영 씨가 굳이 저녁 6시부터 12시간 야간 근무를 고집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어서오세요"]
손님이 없어도, 몸이 아파도, 하루에 무조건 회사 몫으로 넘겨야 할 금액이 15만 원, 한 달이면 390만 원입니다.
[백대
View comments
This playlist has no title.
[집중진단] 카풀 등장에 외면당한 택시…‘승차 거부·바가지’ 여전 / KBS뉴스(News)
Share with your friends!
Press emoticons to leave feelings.
#Like
#Like
1
#Funny
#Funny
1
#Sad
#Sad
0
#Angry
#Angry
0
#Cool
#Cool
0
#Amazing
#Amazing
0
#Scary
#Scary
0
#Want more
#Want more
1
5117 https://youtu.be/ULxdisNzEiA [집중진단] 카풀 등장에 외면당한 택시…‘승차 거부·바가지’ 여전 / KBS뉴스(News) 3
Mark LIKE on the tags!
11091 카풀
8431 등장
11493 외면당한
6542 택시
11494 승차
8004 거부
11495 바가지
7348 여전
판다다
판다다
185
306
There is no introduction.
 
Share page of @판다다
UnMark |Edit |Search
Mark |Dislike |Search
Mark |Del |Search
Open
Report
Full screen
Timer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