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내일(21일) 하루 총파업을 벌입니다.<br />
<br />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됐지만, 정부가 경영계 요구를 수용해서 탄력 근로제의 단위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기로 했기 때문입니다.<br />
<br />
탄력근로 시간이 늘어나면 실질임금이 줄어든다는 것입니다.<br />
<br />
노동계 쟁점사항을 이승철 기자가 정리해 드립니다. <br />
[리포트] <br />
["노동법 개악 중단하라! 투쟁!"]<br />
이번 총파업의 핵심쟁점은 탄력적 근로 시간제 단위기간 확대입니다.<br />
현행 근로기준법을 보면 현재도 최대 석 달까지, 휴일을 제외해도 주당 64시간까지 노동시간을 늘릴 수 있는데, 이 단위 기간이 여섯 달로 늘어나면 최대 여섯 달 동안, 주당 64시간까지 가능해집니다.<br />
노동계는 이렇게 탄력근로 시간이 확대되면, 노동자의 건강권이 위협받게 되고, 실질임금 축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br />
기존 노동자 임금의 절반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자는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와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도 접점을 못 찾고 있는 쟁점들입니다.<br />
[김명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탄력근로제 개악 및 노동관계법에 대해서 또다시 개악한다면, 그것을 멈추지 않는다면 민주노총은 우리가 멈춰서라도 그것을 멈추게 만들 것입니다."]<br />
민주노총은 노동 3권을 제대로 보장받기 위한 국제노동기구 핵심협약 비준도 촉구하고 있습니다.<br />
이와 관련해 오늘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해고자의 노조가입 허용을 골자로 하는 노동법 개정방안을 내놨지만, 이 역시 민주노총과 경영계 입장이 크게 엇갈리고 있습니다.<br />
[박수근/노사관계제도·관행개선위원장 : "노동계가 굉장히 불만이 많은, 불만이 많은 내용으로 저는 알고 있습니다. 경영계는 뭐 얘기하나마나 당연히 (불만이죠)."]<br />
자동차, 조선업을 중심으로 내일(21일) 하루 총파업에 들어가는 민주노총은, 국회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고 있습니다.<br />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i class="fa fa-language transViewIcon clickable" title="Translation"></i>
01:49:24양승태, 오늘 검찰 조사…대법원서 입장 발표-[LIVE] MBC 뉴스투데이 2019년 1월 11일
10:15기회는 단 한번.. [배틀그라운드]
15:28과음한 다음날먹는 해장너구리3봉지 먹방_ Shugi Mukbang eating show
07:52[ENG]바세린으로 주름관리
07:29※역대급 키스신 ※ [음주가무 시즌2] EP07. 두 사람이 함께 밤을 보낸다는 것 | 조병규
01:15[새로운 소셜 기능] 추천과 그룹 찾기 | 오버워치
01:57가습기 살균제 성분 '액체괴물'…온라인서 버젓이 유통
08:40(계약완료)잘 수리하면 멋진 고택이 됩니다 대지 223평의 한옥 7500만원/전원주택매매 농가주택매매 시골집매매 토지매매 싼땅전문 최우선공인중개사 귀농귀촌/공주부동산
02:367만 명 시민들이 만든 위안부 영화 '귀향' / YTN
02:26[애니사냥꾼]도키도키 _최신 역하렘애니 추천!
01:57민주노총 “탄력근로 확대 저지”…내일 총파업 / KBS뉴스(News)
민주노총 “탄력근로 확대 저지”…내일 총파업 / KBS뉴스(News)
00:00
Loading...
https://hoyatag.com/4015민주노총 “탄력근로 확대 저지”…내일 총파업 / KBS뉴스(News)
민주노총이 내일(21일) 하루 총파업을 벌입니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됐지만, 정부가 경영계 요구를 수용해서 탄력 근로제의 단위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탄력근로 시간이 늘어나면 실질임금이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노동계 쟁점사항을 이승철 기자가 정리해 드립니다.
[리포트]
["노동법 개악 중단하라! 투쟁!"]
이번 총파업의 핵심쟁점은 탄력적 근로 시간제 단위기간 확대입니다.
현행 근로기준법을 보면 현재도 최대 석 달까지, 휴일을 제외해도 주당 64시간까지 노동시간을 늘릴 수 있는데, 이 단위 기간이 여섯 달로 늘어나면 최대 여섯 달 동안, 주당 64시간까지 가능해집니다.
노동계는 이렇게 탄력근로 시간이 확대되면, 노동자의 건강권이 위협받게 되고, 실질임금 축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기존 노동자 임금의 절반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자는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와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도 접점을 못 찾고 있는 쟁점들입니다.
[김명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탄력근로제 개악 및 노동관계법에 대해서 또다시 개악한다면, 그것을 멈추지 않는다면 민주노총은 우리가 멈춰서라도 그것을 멈추게 만들 것입니다."]
민주노총은 노동 3권을 제대로 보장받기 위한 국제노동기구 핵심협약 비준도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오늘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해고자의 노조가입 허용을 골자로 하는 노동법 개정방안을 내놨지만, 이 역시 민주노총과 경영계 입장이 크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박수근/노사관계제도·관행개선위원장 : "노동계가 굉장히 불만이 많은, 불만이 많은 내용으로 저는 알고 있습니다. 경영계는 뭐 얘기하나마나 당연히 (불만이죠)."]
자동차, 조선업을 중심으로 내일(21일) 하루 총파업에 들어가는 민주노총은, 국회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View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