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피해자들은 두려움과 수치심 등으로 신고를 망설이다, 고민 끝에 수사기관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br />
그런데 이런 피해자들이 오히려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큰 상처를 받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br />
김채린 기자가 보도합니다.<br />
[리포트]<br />
사건을 신고한 성폭력 피해자는 수사와 재판을 거치며 수많은 질문에 답변해야 합니다.<br />
이 과정에서 경찰과 검사, 판사의 2차 가해가 벌어집니다.<br />
[신진희/피해자국선전담변호사 : "'이전에 성추행을 당했을 때 적극적으로 이야기했으면 가해자가 성폭행까지는 나아가지 않았을 거 아니냐' 이런 식의 질문을 되게 많이 해요. 폭행 당한 사람한테 왜 폭행 당했냐라는 걸 질문하는 거잖아요."]<br />
의붓아버지에게 성폭행을 당한 피해자에게 "아빠랑 사귄 거 맞지?"라고 질문한 검사도 있었습니다.<br />
사람들 앞에서 피해 상황을 재연할 것을 요구받기도 합니다.<br />
[김보화/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책임연구원 : "현장 검증을 한다고 하면서 경찰이 '자동차 뒷좌석에서 재연해봐라. 그때 그 상황을.' 또 재판 도중에 판사가 '본인은 그런 자세로 강간이 가능했다는 것이 납득이 안 된다. 그 자세를 여기서(법정에서) 재연해봐라.'"]<br />
공정하고 합리적인 수사를 기대했던 피해자들은 절망할 수밖에 없습니다.<br />
[신진희/피해자국선전담변호사 : "'내가 이런 걸 알았으면 신고 안 했을 텐데.' (피해자들이) 그렇게 말씀하시는 경우가 많아요. 갈가리 찢어지는 그런 느낌을 받는 거죠. 심리적으로."]<br />
현행법은 수사, 재판 과정에서의 피해자 배려와 사적 비밀 보장 등 2차 피해 방지 조항을 이미 갖추고 있습니다.<br />
문제는 이런 제도를 누가, 어떻게 구현하느냐입니다.<br />
[이미정/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좋은 제도들이 많이 들어와 있어요. 이걸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제들이 필요한데. 인력이 성폭력 전담 부서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그런 환경이 필요합니다. 또 교육, 훈련이 굉장히 중요합니다."]<br />
성폭력 피해 고소인 네 명 중 한 명이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2차 피해를 호소하는 가운데, 국내 성폭력 범죄 신고율은 10% 안팎에 머물고 있습니다.<br />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i class="fa fa-language transViewIcon clickable" title="Translation"></i>
26:42[마녀사냥FULL][49-1] 다 따라하는 친구 (문신, 남친 별명까지?) ★마녀사냥 49회 다시보기 몰아보기★
03:38[드래곤볼Z]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던 순간 (대원VHS 더빙)
02:10“너 아빠랑 사귀지?”…수사기관서 또 우는 피해자들 | KBS뉴스 | KBS NEWS
“너 아빠랑 사귀지?”…수사기관서 또 우는 피해자들 | KBS뉴스 | KBS NEWS
00:00
Loading...
https://hoyatag.com/26098“너 아빠랑 사귀지?”…수사기관서 또 우는 피해자들 | KBS뉴스 | KBS NEWS
성폭력 피해자들은 두려움과 수치심 등으로 신고를 망설이다, 고민 끝에 수사기관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런 피해자들이 오히려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큰 상처를 받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김채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건을 신고한 성폭력 피해자는 수사와 재판을 거치며 수많은 질문에 답변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검사, 판사의 2차 가해가 벌어집니다.
[신진희/피해자국선전담변호사 : "'이전에 성추행을 당했을 때 적극적으로 이야기했으면 가해자가 성폭행까지는 나아가지 않았을 거 아니냐' 이런 식의 질문을 되게 많이 해요. 폭행 당한 사람한테 왜 폭행 당했냐라는 걸 질문하는 거잖아요."]
의붓아버지에게 성폭행을 당한 피해자에게 "아빠랑 사귄 거 맞지?"라고 질문한 검사도 있었습니다.
사람들 앞에서 피해 상황을 재연할 것을 요구받기도 합니다.
[김보화/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책임연구원 : "현장 검증을 한다고 하면서 경찰이 '자동차 뒷좌석에서 재연해봐라. 그때 그 상황을.' 또 재판 도중에 판사가 '본인은 그런 자세로 강간이 가능했다는 것이 납득이 안 된다. 그 자세를 여기서(법정에서) 재연해봐라.'"]
공정하고 합리적인 수사를 기대했던 피해자들은 절망할 수밖에 없습니다.
[신진희/피해자국선전담변호사 : "'내가 이런 걸 알았으면 신고 안 했을 텐데.' (피해자들이) 그렇게 말씀하시는 경우가 많아요. 갈가리 찢어지는 그런 느낌을 받는 거죠. 심리적으로."]
현행법은 수사, 재판 과정에서의 피해자 배려와 사적 비밀 보장 등 2차 피해 방지 조항을 이미 갖추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제도를 누가, 어떻게 구현하느냐입니다.
[이미정/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좋은 제도들이 많이 들어와 있어요. 이걸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제들이 필요한데. 인력이 성폭력 전담 부서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그런 환경이 필요합니다. 또 교육, 훈련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성폭력 피해 고소인 네 명 중 한 명이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2차 피해를 호소하는 가운데, 국내 성폭력 범죄 신고율은 10% 안팎에 머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
View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