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은 세종대왕과 집현전의 학자들이 <br />
창제했다는 것이 정설로 알려져 있죠? <br />
<br />
그런데 한글 창제에 <br />
핵심적인 역할을 한 주역은 <br />
불교 승려였다는 내용의 역사소설이 <br />
최근 출간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br />
<br />
박수인 기자 <br />
<br />
◀VCR▶ <br />
<br />
집현전 대제학인 정인지는 <br />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에서 <br />
신하들은 한글을 만드는 데 <br />
아무런 능력도 발휘하지 못했다고 썼습니다. <br />
<br />
소설가 정찬주 작가는 <br />
정인지의 이 글이 겸손이 아니라 <br />
고백일 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br />
<br />
세종 대를 전후한 조선왕조실록을 <br />
10여차례 탐독하고 관련 사료들을 연구한 <br />
정 작가는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됐고 <br />
이를 소설로 썼습니다.<br />
<br />
◀INT▶ 정찬주 <br />
"훈민정음은 절에서 탄생했다" <br />
<br />
정 작가의 소설에서 <br />
세종과 함께 훈민정음을 창제한 주역은 <br />
집현전의 학자들이 아니라 <br />
당대 최고의 학승인 신미대사였습니다. <br />
<br />
독실한 불교 신자였던 세종은 <br />
범어 전문가이자 자모 문자 이론에 밝은 <br />
신미대사와 손을 잡고 <br />
조선의 말을 소리나는 대로 적을 수 있는 <br />
한글을 만들었다는 겁니다. <br />
<br />
불교를 배척하고 모화사상에 젖어 있던 <br />
유학자들과 육조 대신들은 <br />
신미의 목숨까지 노려가며 <br />
한글 창제를 방해했습니다. <br />
<br />
정 작가는 소설을 통해 <br />
한글 창제의 정신은 <br />
미물의 생명까지 귀하게 여기는 <br />
불교사상과 맞닿아 있었다고 말합니다. <br />
<br />
◀INT▶ 정찬주 <br />
<br />
훈민정음이 절에서 탄생했다는 건 <br />
어떤 면에선 논란이 될 수도 있겠지만 <br />
한글이 백성들을 이롭게 하려는 데서 비롯된 <br />
자랑스런 유산이라는 점을 <br />
소설은 다시 한번 상기시켰습니다. <br />
<br />
엠비씨뉴스////<i class="fa fa-language transViewIcon clickable" title="Translation"></i>
View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