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하루에 약 3만번 정도 호흡을 합니다.<br />
<br />
끊임없이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면서<br />
우리 몸에 필요한 <br />
산소는 폐로 이동시키고 <br />
이산화탄소는 몸 밖으로 배출합니다.<br />
<br />
이때 공기가 지나는 길을 흔히 기도라고 하는데요.<br />
<br />
후두부터 기관지까지를 의미하는 기도는<br />
호흡에 있어서 <br />
폐 이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br />
<br />
폐에 특별한 이상이 없어도 <br />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같은 건강문제가 생기면 <br />
우리는 호흡 곤란으로 인해 <br />
사소한 일상생활 조차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br />
<br />
우리 목 주위에는<br />
뇌에서 온몸으로 이어지는 신경다발과<br />
심장에서 혈액을 머리 쪽으로 보내는 중요 혈관,<br />
그리고 음식을 위로 이동시키는 식도와<br />
공기의 이동통로인 기도가 위치하고 있습니다.<br />
<br />
기도는 크게 후두, 기관, 기관지<br />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요.<br />
<br />
기도가 시작되는 부분인 후두는 <br />
연골로 이루어져 있어서 비교적 단단합니다.<br />
<br />
후두에는 '후두개'라고 하는 덮개가 있어서<br />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br />
<br />
후두 안쪽에는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성대가 있는데<br />
공기가 들고 날 때 이 성대가 떨리면서 목소리를 냅니다.<br />
<br />
기관의 끝부분은 <br />
좌우 양쪽으로 나뉘어 폐와 연결되고<br />
나뭇가지처럼 생긴 여러 개의 세기관지로 나뉩니다.<br />
<br />
이 세기관지는 최종적으로 폐포와 연결되어<br />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 가스를 교환합니다.<br />
<br />
<br />
식도의 앞쪽에 위치하는 기관은<br />
공기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br />
특별한 구조가 있습니다.<br />
<br />
<br />
후두와 연결되는 '기관'은 길이 약 10cm로 <br />
대략 엄지손가락 굵기의 관 형태입니다.<br />
<br />
‘기관’은 약 20개 정도 말발굽 모양의 연골들이 <br />
층층이 쌓여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데요.<br />
<br />
이러한 연골은 <br />
목을 움직이거나 음식을 먹는 등의 활동을 할 때<br />
기관이 눌리지 않고 항상 열려 있도록 <br />
그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br />
<br />
기관의 뒤쪽 벽에는 연골이 없고 <br />
식도와 강하게 연결돼 있는데요.<br />
<br />
간혹 이 연결 부위가 손상되거나 염증이 생기면 <br />
구멍이 나기도 합니다.<br />
<br />
그런 경우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오게 되어<br />
폐렴과 같은 호흡기 감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br />
<br />
<br />
기도는 공기의 이동통로일 뿐 아니라,<br />
건조한 공기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부터<br />
폐를 보호하는 역할도 합니다.<br />
<br />
<br />
기도 내 점막은 끈적한 점액으로 덮여 있고<br />
그 안엔 작은 털 모양의 섬모가 있습니다.<br />
<br />
기도 속의 점액은 숨을 들이마실 때 함께 들어온 이물질이<br />
더 이상 폐 속으로 들어가지 않게 꽉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데요.<br />
<br />
점액에 붙은 먼지 등의 이물질은 <br />
섬모가 이동시켜 기도 밖으로 배출합니다.<br />
<br />
이물질은 점액, 림프액과 섞여 가래가 되는데<br />
가래가 기도점막을 자극하면 기침이 발생하게 됩니다.<br />
<br />
흔히 기침을 병적인 것으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br />
기침 자체는 기도 내 이물질이나 분비물을 제거하는 <br />
정상적인 신체 방어 기전입니다.<br />
<br />
점막 밑에는 기관샘과 림프절이 분포돼 있는데요.<br />
기관샘에서는 점액을 분비해 기도 속으로 들어온 공기가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해주고,<br />
기관 림프절은 기관과 기관지의 이상 여부를 감시합니다.<br />
<br />
매연, 담배연기, 먼지 등 오염된 공기로 인해<br />
기관지천식, 기관지확장증, 만성폐쇄성 폐질환 등<br />
호흡기 질환을 앓는 환자들이 <br />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br />
<br />
이러한 호흡기 질환들은 대부분<br />
기침과 가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br />
질환마다 원인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br />
정확한 감별진단이 필요한데요.<br />
<br />
만약 기침, 가래와 같은 증상이 2주 이상 있거나 <br />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br />
반드시 금연하도록 하고<br />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기 전에<br />
빠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i class="fa fa-language transViewIcon clickable" title="Translation"></i>
View comments